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항공여행 시 알아야 할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by 페이저 2025. 4. 4.

 

안녕하세요! 여행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분들이 비행기 탑승 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에 대해 궁금해하실 텐데요. 항공사마다 조금씩 다른 규정과 최근 강화된 항공 안전 규정에 따른 보조배터리 취급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이 글을 참고하시면 공항에서 당황하는 일 없이 즐거운 여행을 준비하실 수 있을 거예요!

목차

  1. 보조배터리 규제의 기본 개념
  2. 국제 항공 운송 협회(IATA) 기본 규정
  3. 주요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4.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 방법
  5. 항공 여행 시 보조배터리 안전한 휴대 방법
  6. 최근 강화된 항공 안전 규정
  7. 자주 묻는 질문 (FAQ)

1. 보조배터리 규제의 기본 개념

 

보조배터리(Power Bank)는 리튬 이온 또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충전기입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특정 조건에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어 항공 운송에 있어 특별한 규제가 적용됩니다.

중요 포인트:

  •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기내 수하물(캐리온)로만 반입 가능합니다.
  • 절대 위탁 수하물로 부칠 수 없습니다.
  • 용량에 따라 반입 가능 여부와 개수 제한이 있습니다.

2. 국제 항공 운송 협회(IATA) 기본 규정

 

IATA에서 정한 기본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터리 용량 (Wh)반입 규정

100Wh 이하 승객 1인당 개수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항공사 승인 필요)
160Wh 초과 기내 및 위탁 수하물 모두 반입 불가

3. 주요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대한항공

  • 100Wh 이하: 개수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사전 항공사 승인 필요)
  • 단자 보호 조치 필수

아시아나항공

  • 100Wh 이하: 최대 5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사전 항공사 승인 필요)
  • 단자 보호 조치 필수

제주항공

  • 100Wh 이하: 최대 20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단자 보호 조치 필수

진에어

  • 100Wh 이하: 최대 20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단자 보호 조치 필수

에어서울/티웨이항공/에어부산

  • 100Wh 이하: 최대 20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 단자 보호 조치 필수

대표적인 해외 항공사

일본항공(JAL)

  • 100Wh 이하: 개수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에어차이나

  • 100Wh 이하: 최대 20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총 실제 용량 합계 160Wh 이하)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싱가포르항공

  • 100Wh 이하: 개수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델타항공/아메리칸항공/유나이티드항공

  • 100Wh 이하: 개수 제한 없이 기내 반입 가능 (합리적인 수준)
  • 100Wh 초과 ~ 160Wh 이하: 승객 1인당 최대 2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4.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 방법

 

보조배터리의 용량은 대개 mAh(밀리암페어시)로 표기되어 있지만, 항공사에서는 Wh(와트시)를 기준으로 제한합니다. 다음 공식을 활용해 변환할 수 있습니다:

Wh = (mAh × V) ÷ 1,000

예시:

  • 10,000mAh(3.7V) 보조배터리: (10,000 × 3.7) ÷ 1,000 = 37Wh
  • 20,000mAh(3.7V) 보조배터리: (20,000 × 3.7) ÷ 1,000 = 74Wh
  • 30,000mAh(3.7V) 보조배터리: (30,000 × 3.7) ÷ 1,000 = 111Wh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보조배터리는 100Wh 이하이지만, 대용량 제품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5. 항공 여행 시 보조배터리 안전한 휴대 방법

  1. 단자 보호: 보조배터리의 단자를 테이프로 감싸거나 전용 보호 케이스에 넣어 단락을 방지합니다.
  2. 개별 포장: 여러 개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할 경우 각각 따로 포장하여 접촉을 방지합니다.
  3. 기내 수하물 휴대: 반드시 기내 수하물로만 반입하고, 위탁 수하물에 넣지 않습니다.
  4. 열에 노출 주의: 직사광선이나 고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5. 제조사 정품 사용: 인증되지 않은 저가형 보조배터리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6. 최근 강화된 항공 안전 규정

2024년 기준으로 항공 안전 규정이 더욱 강화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습니다:

  1. 스마트 수하물 제한: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스마트 수하물(예: 스마트 여행 가방)은 내장 배터리를 분리할 수 없는 경우 기내 반입도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충전 상태 확인 강화: 일부 항공사에서는 보조배터리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충전 상태 확인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손상된 배터리 반입 금지: 눈에 띄게 손상되거나 팽창된 보조배터리는 절대 반입할 수 없습니다.
  4. 용량 표시 의무화: 용량(mAh 또는 Wh)이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은 보조배터리는 반입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5. 추가 서류 요구: 일부 항공사는 100Wh 초과 보조배터리에 대해 제조사 사양서 등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6. 자가 발화 방지 봉투(LiPo bag) 권장: 일부 항공사에서는 리튬 배터리 안전 봉투에 보조배터리를 보관할 것을 권장합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FAQ)

Q: 보조배터리는 왜 위탁 수하물로 부칠 수 없나요?

A: 리튬 배터리는 고도나 압력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화물칸에서 발화할 경우 신속한 대응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Q: 용량 표시가 없는 보조배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용량 표시가 없는 보조배터리는 항공기 반입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표시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거나 제조사 사양서를 함께 지참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배터리가 내장된 기기(노트북, 스마트폰 등)도 제한이 있나요?

A: 내장 배터리가 100Wh 이하인 일반적인 전자기기는 대부분 기내 및 위탁 수하물 모두 가능합니다. 단, 일부 항공사는 위탁 수하물에 넣을 경우 전원을 완전히 끄도록 요구합니다.

Q: 보조배터리와 보조 충전기(충전용 어댑터)는 다른가요?

A: 네, 다릅니다. 보조배터리는 자체 저장 배터리가 있어 규제 대상이지만, 전원을 연결해야만 작동하는 충전용 어댑터는 리튬 배터리가 없으므로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Q: 무선 이어폰 충전 케이스도 보조배터리로 간주되나요?

A: 무선 이어폰 충전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용량이 매우 작아(대부분 10Wh 미만) 보조배터리 규제에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정보는 항공사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항공 여행 시 보조배터리 반입은 용량과 항공사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보조배터리(20,000mAh 이하)는 문제없이 기내 반입이 가능하지만, 안전한 여행을 위해 항상 최신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행 출발 전 이용하실 항공사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거나, 문의 전화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 되세요!


※ 본 정보는 2024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항공사 정책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여행 전 반드시 해당 항공사의 최신 규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클럽T로밍 완벽 가이드 – 해외여행 필수 서비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열리면서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원활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로밍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는데요. SK텔레콤의 ‘클럽T

mintgreen.tistory.com